“전화도 느리고, 배터리도 빨리 닳고, 가끔 이상한 팝업이 떠요.”
복지관 스마트폰 교육 현장에서 어르신들이 자주 하는 말입니다.
2025년 현재, 보이스피싱과 스미싱 사기의 70% 이상이 악성 앱 설치를 기반으로 한 범죄로 진화했습니다.
범죄자는 스미싱 문자 링크 클릭 한 번으로,
- 부모님의 연락처, 문자, 사진,
- 금융 앱 접속 정보,
- 심지어 통화 내용까지 모두 탈취할 수 있는 백도어(backdoor) 악성 앱을 설치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노년층이 반드시 알아야 할
- 스마트폰 악성 앱의 특징과 감지 방법,
-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 안드로이드·아이폰 별 삭제 실전 가이드,
- 예방을 위한 스마트폰 보안 설정
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오늘 이 가이드대로 점검하면, 부모님의 스마트폰을 보이스피싱과 해킹 범죄로부터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악성 앱 설치의 실제 사례와 범죄 시나리오
사례① 스미싱 링크 클릭 후 설치된 악성 앱
70대 어머니 A씨는 택배 배송 문자를 받았습니다.
‘배송 조회’ 버튼을 누르자 앱 설치 화면이 떴고, 별 의심 없이 설치했습니다.
이후 스마트폰에서
- 잦은 광고 팝업,
- 배터리 과소모,
- 전화 끊김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결과
범인은 이 앱을 통해 어머니 스마트폰 내 금융 앱 접속 정보를 탈취했고,
하루 만에 300만원이 이체되었습니다.
사례② 가짜 금융보호센터 앱 설치 사기
60대 아버지 B씨는 금융감독원 사칭 전화를 받았습니다.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려면 금융보호센터 앱을 설치하셔야 합니다.”
범인이 보낸 문자 링크에서 앱을 설치했고,
3일 뒤 1,200만원이 안전계좌로 송금된 뒤 사라졌습니다.
결과
해당 앱은 실제 금융감독원 로고와 유사한 아이콘을 사용했지만,
구글 플레이스토어가 아닌 직접 다운로드 링크(apk) 설치 방식이었습니다.
스마트폰 악성 앱의 주요 특징과 감지 방법
① 출처 불명의 앱 아이콘
홈 화면이나 앱서랍에 기억나지 않는 앱 아이콘이 존재
② 앱 설치 경로가 구글 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가 아님
카카오톡, 문자 링크를 통해 직접 다운로드
③ 배터리 과소모
평소보다 배터리가 빠르게 소모되면 백그라운드에서 악성 앱이 실행 중일 가능성
④ 데이터 사용량 급증
악성 앱이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므로, 데이터 사용량이 비정상적으로 증가
⑤ 스마트폰 속도 저하, 발열
CPU 점유율이 높아져 스마트폰이 뜨거워지거나 느려짐
⑥ 금융 앱 실행 오류 또는 비정상 로그아웃 반복
로그인 정보 탈취 기능 실행 중일 가능성
자가 진단 체크리스트
- 홈 화면과 앱 목록을 살펴보자
→ 모르는 앱이 있는가?
- 설치 경로를 기억하지 못하는 앱이 있는가?
- 최근 배터리가 이상하게 빨리 닳는가?
- 데이터를 많이 쓰지 않는데 요금제 사용량이 갑자기 늘었는가?
- 금융 앱 실행 시 알 수 없는 팝업이나 로그인 오류가 반복되는가?
진단 결과
- 2개 이상 해당된다면 악성 앱 존재 가능성이 높음
안드로이드·아이폰 악성 앱 삭제 실전 가이드
안드로이드 폰
① 악성 앱 확인 방법
1. 설정 → 애플리케이션(앱) → 앱 목록 전체 보기
2. 모르는 앱, 기억나지 않는 앱, 설치 출처가 알 수 없는 앱 확인
② 삭제 방법
1. 해당 앱 선택 → ‘삭제(제거)’ 버튼 클릭
2. 삭제 불가 메시지가 뜨면,
- 설정 → 보안 → ‘관리자 권한 앱’으로 이동
- 관리자 권한 해제 후 삭제
③ 권장 추가 조치
보안 앱 검사
- 알약M, V3 모바일, 후후앱 설치 후 전체 검사
→ 바이러스, 트로이목마, 악성코드 제거
알 수 없는 출처 앱 설치 차단
- 설정 → 보안 → ‘알 수 없는 출처 허용’ OFF
아이폰(iOS)
① 악성 앱 확인 및 삭제
- iPhone은 기본적으로 앱스토어 외 설치가 불가하므로, 악성 앱 피해가 적음
- 그러나 프로파일(프로비저닝) 설치 사기 발생 가능
② 프로파일 삭제 방법
1. 설정 → 일반 → VPN 및 기기 관리(프로파일)
2. 설치된 프로파일 확인
3. 모르는 프로파일 삭제
③ 권장 추가 조치
- 최신 iOS 업데이트 유지
- 사파리 팝업 차단 기능 ON
예방을 위한 스마트폰 보안 설정과 반복 점검
1. 알 수 없는 출처 앱 설치 차단 (안드로이드)
설정 → 보안 → 알 수 없는 출처 ‘허용 안 함’
2. 통화녹음, 발신자 표시 앱 설치
보이스피싱, 사기 전화 차단 필수
- 후후, 후스콜 앱
3. 금융앱 2중 인증 설정
OTP, 보안카드 대신 보안토큰·생체인증 사용
4. 매주 스마트폰 점검 루틴
가족과 함께 주 1회 스마트폰 앱 목록, 배터리 사용량, 데이터 사용량 확인
마무리 요약
스마트폰 악성 앱은 단 한 번의 실수, 단 한 번의 클릭으로 설치됩니다.
그리고 그 피해는 부모님의 평생 재산을 송두리째 빼앗아갑니다.
- 오늘 바로 스마트폰 앱 목록을 점검하세요.
- 모르는 앱은 삭제, 알 수 없는 출처 설치는 차단하세요.
- 가족과 함께 매주 점검 루틴을 실천하세요.
예방은 어렵지 않습니다.
반복 훈련과 점검만이 부모님의 스마트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습니다.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알뜰폰 사용자 스마트폰 보안 7단계 설정법 (0) | 2025.07.08 |
---|---|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가짜 금융앱 설치 사기, 이렇게 완벽 차단하라 (0) | 2025.07.08 |
노년층 금융 사기 메신저 피싱 대처 훈련: 가족 사칭 대화 시뮬레이션 (0) | 2025.07.07 |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중 AI 음성 복제 사기, 실제 피해 사례와 구별법 (0) | 2025.07.07 |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보이스피싱 대처 훈련 (0) | 2025.07.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