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년층 대상 금융사기 예방 포스터/배너 디자인 전략

by originme 2025. 7. 14.
반응형

노년층의 금융사기 피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지만,
가장 오랫동안 눈에 남고 행동으로 이어지는 형식은 여전히 시각 중심의 포스터와 배너입니다.

✔ 카드뉴스는 일시적이고 SNS에 의존합니다.
✔ 강의는 반복되지 않으면 쉽게 잊힙니다.
✔ 하지만 포스터는 복지관, 은행, 병원, 엘리베이터 안 등
일상에서 지속적으로 눈에 들어오는 시각적 훈련 자산입니다.

 

특히 60세 이상의 노년층은
- 문자 정보보다 이미지 중심 정보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 글보다 ‘그림과 얼굴’로 사기를 인지하고 기억하는 경향이 높습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 노년층을 위한 금융사기 예방 포스터와 배너 디자인의 원칙과 전략을
구체적 사례, 레이아웃 구성, 문구 작성 팁, 활용 방법까지 포함하여
실전 중심으로 안내합니다.

노년층 대상 금융사기 예방_고뇌하는 노인

노년층 시각 특성과 디자인 접근법

① 노년층 시각 인지 특성

항목 노년층 특징디자인 시 고려사항
시력 저하 작은 글씨 인지 어려움 최소 20pt 이상 폰트 사용
색 인지력 저하 파랑·녹색계열 혼동 고대비(검정-노랑, 흰-빨강 등) 사용
인지 속도 감소 복잡한 문장 처리 어려움 단문 문장 중심 구성
정보 선호 사례 중심 정보 선호 실제 사례 기반 디자인 구성
 

핵심: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을 유도하는 시각적 설계가 필요합니다.

 

② 핵심 메시지 전달 방식

- 구체적 숫자 활용: “3번 전화가 오면 끊으세요”

- 행동 중심 표현: “영상통화를 요구하세요!”

- 피해자 공감 이미지: “딸이라고 했는데… 딸이 아니었어요”

- ‘OO한테 물어보세요’ 유도: 혼자 판단 X → 가족/경찰 언급

 

포스터/배너 구성 요소와 레이아웃 전략

① 기본 레이아웃 구성 (A3 기준)

구성설명
상단 타이틀 사기 유형을 한 문장으로 요약 (예: “검찰을 사칭한 전화입니다”)
메인 이미지 실제 상황 연출 or 일러스트 (예: 수화기를 들고 있는 어르신)
사례 문구 “내가 범죄자라고요?” 실제 피해자 멘트 활용
행동 문구 “바로 끊고 112에 신고하세요” 등 행동 중심 문장
하단 정보 신고 전화번호, 금융감독원 로고, 배포 기관명 등
 

② 배너 구성 (세로형 롤업 기준)

구성예시 내용
헤드라인 ❌ 이런 전화, 이런 문자는 모두 사기입니다!
사례 1 “딸이 급하대요” → 영상통화 요구하세요
사례 2 “검찰이 돈을 입금하라네요” → 전화 끊고 112 신고
하단 QR 예방 영상/앱 안내 QR 삽입 (가족이 함께 확인 가능)
 

팁: 포스터는 상세 설명 중심, 배너는 핵심 요약 중심

 

③ 문구 작성 핵심

- 문장에 주어를 명확히 넣는다 → AI 판독기 우회
예: “검찰은 절대 전화로 계좌를 조사하지 않습니다”

- 행동 문구는 명령형으로 마무리
예: “절대 입금하지 마세요 / 영상통화를 요청하세요”

- 감정 표현 삽입 → 공감 유도
예: “속상합니다. 딸인 줄 알았는데, 아니었어요…”

 

디자인 예시와 시각적 요소 전략

① 대표 포스터 예시 주제 (디자인 가이드)

1, 메신저 사칭 포스터
→ 배경: 카카오톡 메시지창 일러스트
→ 문구: “아들이라고요? 영상통화로 확인하세요!”


2. AI 보이스피싱 포스터

→ 배경: 이어폰으로 딸 목소리를 듣는 어르신
→ 문구: “목소리는 딸, 전화한 사람은 사기범입니다.”

 

3. 검찰 사칭 포스터
→ 배경: 검찰 마크 뒤에 가려진 그림자 인물
→ 문구: “검찰은 전화를 걸지 않습니다. 오면 끊으세요!”

 

② 컬러 전략

메시지추천 색상 조합
경고/위험 빨강+검정+노랑 (주의 전환 유도)
신뢰/공공기관 파랑+흰색 (금융감독원, 경찰청 로고 어울림)
정보 전달 검정 텍스트+흰 배경 (시인성 확보)
 

③ 폰트 선택

- 노년층  가독성 높은 폰트
예: 나눔고딕, 서울한강체, KoPub체

- 절대 피할 것: 얇은 손글씨체, 붓글씨체, 장식체

 

제작 및 배포 전략

① 제작 수량 및 단가 예시

종류수량단가합계
A3 포스터 500장 400원 20만원
롤업 배너 3개 5만원 15만원
리플렛 병행 1,000부 150원 15만원
 

총합계 예산: 약 50만 원 ~ 70만 원 수준 (소규모 행사용 기준)

 

② 배포 장소 전략

장소설명
복지관 식당, 강당 입구, 복도 공간 활용
금융기관 지점 ATM 주변, 입출금 창구 앞
주민센터 민원실 대기 공간, 안내데스크
병원·약국 대기실, 진료실 출입문
 

부착 위치는 어르신 눈높이 기준 (120~140cm) 유지

 

③ QR 코드/스마트 연동 제안

- 포스터 하단에 예방 영상 링크 QR 삽입
→ 자녀가 스캔 → 가족 전체 공유

- 앱 설치 없이 볼 수 있는 웹페이지 영상 링크 권장

 

마무리: 포스터는 ‘침묵 속의 경고장’입니다

어르신은 대부분
- 조용히 포스터를 읽고, 혼자 판단합니다.

그 순간,
포스터의 한 줄 문장과 한 장의 이미지가
- 그분의 행동을 결정짓습니다.

디자인은 예술이 아니라, 목숨을 지키는 언어입니다.

 

노년층을 위한 금융사기 예방 포스터와 배너는
- 반복 노출,
- 높은 시인성,
- 강한 인지 효과
를 통해, 행동을 바꾸는 시각 훈련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포스터 한 장으로 보이스피싱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림은 기억되지만, 글은 쉽게 잊히니까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