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캠페인 오프라인 행사 기획안

by originme 2025. 7. 14.
반응형

2025년 현재,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메신저 피싱·AI 음성 사기 피해는
단순 정보 부족보다 행동 미숙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 “누가 알려줬는데 기억이 잘 안 나요.”
✔ “전화가 오니까 순간 당황해서 눌렀어요.”
✔ “뉴스에서 봤지만 설마 내 얘기일 줄은…”

이처럼 단순한 강의나 카드뉴스로는 어르신들의 즉각적인 상황 대처 능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 대안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오프라인 체험 중심 캠페인 행사입니다.
예방 교육을 ‘이해’가 아닌 ‘직접 해보는 체험’ 중심으로 구성하여
- 보이스피싱 대응 훈련,
- 가족 사칭 메신저 구별 실습,
- AI 음성판별 퀴즈 등
반복 체험을 통해 행동 능력을 강화하는 행사 방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 실제 운영 가능한 고령층 금융사기 예방 캠페인 행사 기획안을
내용 구성, 부스 배치, 진행 시나리오, 예산 모델, 협력기관 제안 전략까지
실전 중심으로 자세히 안내합니다.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캠페인_수많은 노인들의 얼굴

행사 개요 및 목적 정의

행사명 예시

“내 통장 내가 지킨다 – 어르신 금융사기 예방 체험 한마당”

 

행사 목적

  1. 고령층의 금융사기 대응력 향상
  2. AI 보이스피싱·메신저 사기 등 최신 수법 인식 강화
  3. 반복 체험 기반 ‘반사적 대응 능력’ 습득
  4. 지역 내 어르신 대상 예방 의식 확산

 

주최/주관/후원 예시

구분기관비고
주최 ○○시청, ○○구청 지역 예산 활용 가능
주관 ○○복지관, 금융사기예방연구소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후원 금융감독원, ○○은행, 경찰서 현장 참여 및 홍보 가능
 

대상 및 규모

  • 대상: 만 60세 이상 지역 어르신 누구나
  • 예상 참여 인원: 1일 기준 300~500명
  • 장소: 구청 광장, 종합복지관 강당, 주민센터 외부마당 등
  • 운영 시간: 오전 10시~오후 4시

 

프로그램 구성 및 체험부스 예시

행사 전반 구조

구역구성 내용
메인 무대 개막식, 전문가 강연, 퀴즈 이벤트
체험 부스 6~8개 부스에서 반복 훈련 체험
상담존 금융사기 피해 접수 및 상담
리플렛/카드뉴스 존 자료 배포 및 QR코드 설명
포토존 SNS 인증 유도, 홍보 콘텐츠 제작
 

주요 체험 부스 구성

1. 보이스피싱 전화 대응 훈련 부스
- 실제 시나리오 전화를 받아보고 올바른 응답 훈련

-  AI 음성 사칭 전화도 포함 (녹음된 사례 활용)

 

2. 메신저 사칭 구별 체험 부스
- 화면 속 가족 메시지를 보고 사기 여부 판단
- 영상통화 확인 버튼 누르기 훈련

 

3. 사기 번호 실시간 검색 체험 부스
- 스마트폰 또는 키오스크에 번호 입력 → 사기 여부 판별 훈련

- 후후 앱 및 금융감독원 API 연동 가능

 

4. 사기 링크 클릭 대응 퀴즈 부스
- "이 문자, 눌러도 될까요?” 인터랙티브 퀴즈
- 눌렀을 때 나오는 행동 시나리오 선택

 

5. 안심 금융 수칙 스탬프 투어 부스
- 10개 수칙 설명 듣고 스탬프 모으면 사은품 지급
- 예: “가족 사칭 시 영상통화로 확인하자”

 

운영 인력 및 행사 진행 시나리오

인력 구성 예시 (300명 규모 기준)

역할인원주요 업무
총괄 운영 2 전체 기획 및 일정 통제
체험 부스 진행요원 부스당 2명 × 6개 설명 및 응답 체크
응급 및 보건 인력 1 어르신 응급 상황 대비
전문강사 1~2 무대 강의 및 방송 안내
안내·접수 3 출석 체크, 리플렛 배포
사진/영상 촬영 1 홍보 자료 제작용 촬영
 

진행 시나리오 예시

- 10:00 ~ 10:30 : 개막식 및 인사말

- 10:30 ~ 11:00 : 보이스피싱 전문가 미니 강연

- 11:00 ~ 13:00 : 체험 부스 운영 (동시 진행)

- 13:00 ~ 14:00 : 어르신 금융사기 사례 토크쇼

- 14:00 ~ 15:30 : 스탬프 투어 및 퀴즈 이벤트

- 15:30 ~ 16:00 : 경품 추첨 및 폐회

 

예산 구성 및 협력기관 제안 전략

기본 예산 항목 예시 (단일 행사 기준)

항목예산 범위비고
장소 및 무대 설치 100~150만원 천막, 마이크, 전기 등
부스 운영비 200~300만원 인력, 부스소품, 시나리오 인쇄 등
자료 제작비 100만원 카드뉴스, 리플렛, 안내판 등
경품 및 기념품 100~150만원 참여자 유도용
홍보비 50만원 현수막, SNS 포스터 제작 등
총합계 약 600~800만원 규모에 따라 조정 가능
 

협력 제안 전략

대상제안 포인트
지자체 주민 민원 감소, 노인 대상 공공예산 활용, 언론보도 가치
금융기관 고객 보호 이미지 강화, ESG 활동 실적 확보
경찰서 예방 중심 치안 활동 홍보 효과
복지관 기관 이미지 상승, 참여율 증가
 

마무리: 정보보다 중요한 건, ‘몸으로 기억하게 하는 체험’

어르신은 단순히 듣고 아는 것이 아니라
- “직접 해보고 손으로 눌러보는 경험”을 통해
진짜로 위험을 피하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오프라인 캠페인 행사는
- 보이스피싱 대응력을 키우는 동시에
- 가족, 지역사회, 공공기관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지속 가능한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반이 됩니다.

 

“체험은 교육보다 오래 남습니다.
오늘 참여한 어르신 한 분이, 내일 가족의 피해를 막아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