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현재, 노년층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메신저 피싱·AI 음성 사기 피해는
단순 정보 부족보다 행동 미숙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 “누가 알려줬는데 기억이 잘 안 나요.”
✔ “전화가 오니까 순간 당황해서 눌렀어요.”
✔ “뉴스에서 봤지만 설마 내 얘기일 줄은…”
이처럼 단순한 강의나 카드뉴스로는 어르신들의 즉각적인 상황 대처 능력을 키우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그 대안으로 주목받는 것이 바로 오프라인 체험 중심 캠페인 행사입니다.
예방 교육을 ‘이해’가 아닌 ‘직접 해보는 체험’ 중심으로 구성하여
- 보이스피싱 대응 훈련,
- 가족 사칭 메신저 구별 실습,
- AI 음성판별 퀴즈 등
반복 체험을 통해 행동 능력을 강화하는 행사 방식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 실제 운영 가능한 고령층 금융사기 예방 캠페인 행사 기획안을
내용 구성, 부스 배치, 진행 시나리오, 예산 모델, 협력기관 제안 전략까지
실전 중심으로 자세히 안내합니다.
행사 개요 및 목적 정의
행사명 예시
“내 통장 내가 지킨다 – 어르신 금융사기 예방 체험 한마당”
행사 목적
- 고령층의 금융사기 대응력 향상
- AI 보이스피싱·메신저 사기 등 최신 수법 인식 강화
- 반복 체험 기반 ‘반사적 대응 능력’ 습득
- 지역 내 어르신 대상 예방 의식 확산
주최/주관/후원 예시
주최 | ○○시청, ○○구청 | 지역 예산 활용 가능 |
주관 | ○○복지관, 금융사기예방연구소 |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
후원 | 금융감독원, ○○은행, 경찰서 | 현장 참여 및 홍보 가능 |
대상 및 규모
- 대상: 만 60세 이상 지역 어르신 누구나
- 예상 참여 인원: 1일 기준 300~500명
- 장소: 구청 광장, 종합복지관 강당, 주민센터 외부마당 등
- 운영 시간: 오전 10시~오후 4시
프로그램 구성 및 체험부스 예시
행사 전반 구조
메인 무대 | 개막식, 전문가 강연, 퀴즈 이벤트 |
체험 부스 | 6~8개 부스에서 반복 훈련 체험 |
상담존 | 금융사기 피해 접수 및 상담 |
리플렛/카드뉴스 존 | 자료 배포 및 QR코드 설명 |
포토존 | SNS 인증 유도, 홍보 콘텐츠 제작 |
주요 체험 부스 구성
1. 보이스피싱 전화 대응 훈련 부스
- 실제 시나리오 전화를 받아보고 올바른 응답 훈련
- AI 음성 사칭 전화도 포함 (녹음된 사례 활용)
2. 메신저 사칭 구별 체험 부스
- 화면 속 가족 메시지를 보고 사기 여부 판단
- 영상통화 확인 버튼 누르기 훈련
3. 사기 번호 실시간 검색 체험 부스
- 스마트폰 또는 키오스크에 번호 입력 → 사기 여부 판별 훈련
- 후후 앱 및 금융감독원 API 연동 가능
4. 사기 링크 클릭 대응 퀴즈 부스
- "이 문자, 눌러도 될까요?” 인터랙티브 퀴즈
- 눌렀을 때 나오는 행동 시나리오 선택
5. 안심 금융 수칙 스탬프 투어 부스
- 10개 수칙 설명 듣고 스탬프 모으면 사은품 지급
- 예: “가족 사칭 시 영상통화로 확인하자”
운영 인력 및 행사 진행 시나리오
인력 구성 예시 (300명 규모 기준)
총괄 운영 | 2 | 전체 기획 및 일정 통제 |
체험 부스 진행요원 | 부스당 2명 × 6개 | 설명 및 응답 체크 |
응급 및 보건 인력 | 1 | 어르신 응급 상황 대비 |
전문강사 | 1~2 | 무대 강의 및 방송 안내 |
안내·접수 | 3 | 출석 체크, 리플렛 배포 |
사진/영상 촬영 | 1 | 홍보 자료 제작용 촬영 |
진행 시나리오 예시
- 10:00 ~ 10:30 : 개막식 및 인사말
- 10:30 ~ 11:00 : 보이스피싱 전문가 미니 강연
- 11:00 ~ 13:00 : 체험 부스 운영 (동시 진행)
- 13:00 ~ 14:00 : 어르신 금융사기 사례 토크쇼
- 14:00 ~ 15:30 : 스탬프 투어 및 퀴즈 이벤트
- 15:30 ~ 16:00 : 경품 추첨 및 폐회
예산 구성 및 협력기관 제안 전략
기본 예산 항목 예시 (단일 행사 기준)
장소 및 무대 설치 | 100~150만원 | 천막, 마이크, 전기 등 |
부스 운영비 | 200~300만원 | 인력, 부스소품, 시나리오 인쇄 등 |
자료 제작비 | 100만원 | 카드뉴스, 리플렛, 안내판 등 |
경품 및 기념품 | 100~150만원 | 참여자 유도용 |
홍보비 | 50만원 | 현수막, SNS 포스터 제작 등 |
총합계 | 약 600~800만원 | 규모에 따라 조정 가능 |
협력 제안 전략
지자체 | 주민 민원 감소, 노인 대상 공공예산 활용, 언론보도 가치 |
금융기관 | 고객 보호 이미지 강화, ESG 활동 실적 확보 |
경찰서 | 예방 중심 치안 활동 홍보 효과 |
복지관 | 기관 이미지 상승, 참여율 증가 |
마무리: 정보보다 중요한 건, ‘몸으로 기억하게 하는 체험’
어르신은 단순히 듣고 아는 것이 아니라
- “직접 해보고 손으로 눌러보는 경험”을 통해
진짜로 위험을 피하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오프라인 캠페인 행사는
- 보이스피싱 대응력을 키우는 동시에
- 가족, 지역사회, 공공기관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지속 가능한 예방 시스템을 구축하는 기반이 됩니다.
“체험은 교육보다 오래 남습니다.
오늘 참여한 어르신 한 분이, 내일 가족의 피해를 막아낼 수 있습니다.”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자원봉사자 양성 프로그램 기획안 (0) | 2025.07.14 |
---|---|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보이스피싱 예방 콘텐츠 통합 브랜드 구축 전략 (0) | 2025.07.14 |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대상 보이스피싱 예방 AI 챗봇 기획안 (0) | 2025.07.13 |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키오스크 설치 제안 기획서 (0) | 2025.07.13 |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예방 콘텐츠 구독 플랫폼 사업 모델 (0) | 2025.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