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자원봉사자 양성 프로그램 기획안

by originme 2025. 7. 14.
반응형

보이스피싱, 스미싱, 가족 사칭 메신저 피싱은
점점 더 교묘하고 치밀해지고 있으며,
그 대상은 주로 노년층, 즉 정보 격차에 놓인 어르신들입니다.

 

이런 피해를 막기 위해 각 기관에서는
- 예방 강의,
- 포스터 배포,
- 방송 홍보 등 다양한 캠페인을 운영하고 있지만,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어르신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안내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은
바로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금융사기 예방 자원봉사자 양성 프로그램입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 실제 현장에서 운영 가능한 자원봉사자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대상자 선정, 커리큘럼, 역할 분담, 예산 계획, 운영 전략까지
실전에 바로 적용 가능한 형태로 안내드립니다.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자원봉사자 프로그램_외로운 노인의 모습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프로그램 개요 및 필요성

프로그램 명칭 (제안형)

“안심지킴이 119 – 노년층 금융사기 예방 도우미 양성과정”

 

목적

- 보이스피싱 등 금융사기 피해를 지역에서 사전에 차단

- 노년층과 가까운 세대의 자발적 참여를 통한 지속적 예방 활동

- 어르신들과 ‘눈높이 소통’ 가능한 생활 밀착형 대응 시스템 구축

- 지자체·복지관 중심의 예방 네트워크 완성

 

운영 대상

구분내용
지원 자격 만 19세 이상 누구나 (청년, 주부, 은퇴자 등)
우선 선발 노년층 자녀세대, 지역 커뮤니티 활동자, 학생 봉사 희망자
모집 인원 기본 20명 내외 / 지역 단위 기준
 

활동 기간 및 형식

- 교육 기간: 기본 4주(주 1회, 2시간씩)

- 활동 기간: 6개월~1년, 주 1회 이상 현장 활동

- 활동 지역: 복지관, 금융기관, 경로당, 마을회관 등

 

교육 커리큘럼 및 양성과정 구성

전체 교육 개요

주차주제주요 내용
1주차 금융사기의 이해 보이스피싱, 스미싱, 가족 사칭 사례 및 통계
2주차 행동훈련법 어르신 대상 응대 훈련, 역할극 기반 시뮬레이션
3주차 예방 콘텐츠 활용법 카드뉴스, 포스터, 앱 사용법 교육
4주차 실전 적용 및 평가 모의 활동 실시, 역할 분담, 인증서 발급
 

실습 중심 설계

- 전화 대응 시뮬레이션 실습: “지금 검찰입니다” → 끊고 대응 유도

- 메신저 피싱 구별 퀴즈: 실제 사칭 메시지를 보고 구별 훈련

- 스미싱 링크 클릭 후 대처법: 눌렀을 때 화면 흐름 이해

 

보조 교육 자료 제공

- 강의안 PDF (슬라이드형)

- 행동 요령 포스터 3종

- 어르신 전용 퀴즈 리플렛

- ‘보이스피싱 대응 멘트 카드’ 제작 (주머니형 소지 가능)

 

수료 요건

- 출석률 75% 이상

- 모의 대응 실습 완료

- 간단한 평가 퀴즈 통과
→ 수료증 + 활동 배지 지급 (명찰형)

 

활동 유형 및 역할 구성

주요 활동 예시

활동명내용
예방 방문활동 경로당·복지관에 방문하여 카드뉴스 안내 및 간단 강의
사기 전화번호 차단 지원 어르신 휴대폰 설정 도와주기 (차단 앱 설치)
예방 콘텐츠 전달 주기적으로 리플렛, 포스터 배포 및 설명
긴급 신고 유도 의심 상황 발견 시 경찰 연결 안내
SNS 예방 활동 지역 커뮤니티에 카드뉴스 게시 및 교육 후기 공유
 

팀 구조 예시

역할인원주요 역할
지역 리더 1 팀 리딩 및 기관과 연락
활동 담당 3~5 현장 방문, 콘텐츠 전달 등
기록 담당 1 활동 일지 작성 및 사진 촬영
온라인 담당 1 커뮤니티 게시물 작성 및 후기 공유
 

활동 인증 및 피드백

- 활동 일지 제출 (구글폼 or 종이 서식)

- 월간 간담회 실시 (활동 공유 및 이슈 공유)

- 우수활동자 표창 및 소정의 상품 제공

 

예산 계획 및 운영 전략

예산 항목 예시 (1회 기준)

항목세부 내용예산
교육 강사비 4회 강의 × 10만원 40만원
장소·장비 복지관 강의실, 인쇄비 20만원
교재 제작 교안, 리플렛, 행동카드 등 30만원
활동비 지원 교통비, 음료비 등 (1인당 1만원×20명) 20만원
인증/기념품 배지, 수료증, 기념품 20만원
총합계   약 130만 원 내외
 

예산 확보 전략

제안 기관제안 포인트
지자체 복지과 어르신 안전 복지예산 활용 가능
경찰서 사기 피해 예방 활동 연계 가능
금융기관 CSR팀 ESG 및 지역기여 활동 성과 인정 가능
시민단체·NPO 고령사회 대응 사업 확대 가능성
 

민간 연계 팁

- 카카오, 통신사, 금융사 등과 협약을 통해
포스터·카드뉴스 공동 제작 및 배포

- 자원봉사 실적 연계 (VMS, 1365 등록)로 참여자 확대

 

마무리: 전문가가 아닌 ‘지킴이’가 필요합니다

보이스피싱을 막는 일은
AI도, 경찰도, 앱도 전부 필요하지만
- 현장에서 어르신 곁에 있는 사람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 사람은 반드시 전문가일 필요 없습니다.
- 딸 같은 사람,
- 손자 같은 젊은이,
- 이웃 같은 주부가
하루 1시간만 투자해도
어르신의 생애 전 재산을 지킬 수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는 정보 전달자가 아닙니다.
그 자체로 예방의 방패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