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메신저 사기·AI 음성 사칭 범죄는
정보를 몰라서가 아니라, 순간적으로 판단을 놓쳤기 때문에 피해로 이어집니다.
특히 노년층은 장문의 기사나 유튜브 영상보다
- 짧고 눈에 들어오는 시각 정보에 더 빠르게 반응합니다.
이런 특성을 반영해 탄생한 것이 바로 SNS 카드뉴스 시리즈 콘텐츠입니다.
-전달력은 높고
- 반복 노출이 가능하며
- 스마트폰에서 보기 쉽고
- 가족과의 공유도 간편합니다.
하지만 단순히 만들기만 해서는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누가 언제, 어떻게 보는지까지 고려한 전략적 콘텐츠 설계와 배포가 반드시 병행돼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 카드뉴스 콘텐츠 구성 원칙,
- 시리즈 주제 개발 전략,
- 시청률을 높이는 배포 채널과 방식,
- 가족 연계 공유 전략,
- 장기적인 마케팅 운영 전략까지
실제 마케팅 실행에 바로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카드뉴스 콘텐츠 구성 전략
카드뉴스의 기본 구성 (슬라이드 5~8장 기준)
1장 | 주제 강조 / 시선 끌기 | “이 전화, 받지 마세요!” |
2~3장 | 상황 설명 / 사례 제시 | “검찰을 사칭한 전화가 왔습니다. 그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
4~5장 | 사기 수법 설명 | “진짜 검찰은 계좌번호를 묻지 않습니다.” |
6~7장 | 행동 지침 제안 | “이럴 땐 반드시 영상통화를 요청하세요.” |
8장 | 요약 + 기관 연락처 or QR | “보이스피싱, 이렇게 막을 수 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보려면 👉” |
필수 요소
- 글자는 1장당 3~5줄 이내
- 글꼴은 나눔고딕, KoPub체 등 시인성 높은 서체
- 고령층 대상이라면 텍스트 크기 최소 24pt 이상
- 1장에 1포인트 강조 / 너무 많은 정보 금지
핵심: 요약된 문장을 시각적으로 반복 노출 → 행동 유도
이미지 선택 팁
- 실제 사례에 가까운 시뮬레이션 이미지 활용
- 폰 화면 캡처, 전화기 그림, 노년층 인물 삽화
- 너무 장난스러운 스타일 또는 과장된 공포 이미지는 피할 것
카드뉴스 시리즈 주제 개발 전략
시리즈 구조 예시 (카테고리별)
① 사기 유형별 | “검찰 사칭 전화, 이렇게 말합니다” / “딸을 사칭한 메신저, 이렇게 구별하세요” |
② 행동법 중심 | “전화 받았을 때 해야 할 3가지” / “링크를 눌렀다면 이렇게 하세요” |
③ 기기 설정 안내 | “보이스피싱 차단 앱 설치법” / “스팸 전화 실시간 확인법” |
④ 가족 공유형 | “엄마, 이런 문자 오면 절대 누르지 마세요” / “영상통화 먼저 하자고 하세요” |
⑤ 사례형 | “OO씨가 당한 실제 피해 스토리” / “이렇게 막았습니다!” |
주제 선정 기준
- 구글 검색량 낮은 사기 유형은 SEO에서 유리
- 뉴스에 자주 등장한 사건은 검색 유입이 높음
- “~하는 법”, “이럴 땐?” 형태의 How-to 콘텐츠는 공유율 높음
시리즈 제목은 숫자/행동 중심으로 작성
예: “보이스피싱을 막는 3초 행동”, “영상통화로 사기 막는 1가지 방법”
채널별 카드뉴스 배포 전략
주요 SNS 채널 비교
카카오톡 채널 | 고령층 친화도 가장 높음 | 복지관·지자체 채널에 카드뉴스 발송 |
네이버 밴드 | 가족 중심 커뮤니티 활용 가능 | 부모-자녀 간 공유 콘텐츠로 적합 |
인스타그램 | 카드뉴스 시각 효과 극대화 | 해시태그 기반 도달률 증가 가능 |
유튜브 커뮤니티 | 쇼츠 연동 가능 | 썸네일로 눈길 끌고 → 카드뉴스 유도 |
페이스북 | 시니어층 접근 가능 | 지역 커뮤니티 중심 배포 전략 병행 |
카드뉴스 업로드 팁
- 첫 장에 경고 색상(노랑, 빨강) 사용
- 제목에 행동 키워드 넣기: "이런 전화는 받지 마세요"
- 항상 마지막 장에 “더보기 링크” 또는 “QR코드” 삽입
- 요일별 시리즈 고정 업로드 → 반복 노출로 행동 전환 유도
가족 공유 유도형 콘텐츠 전략
왜 가족형 콘텐츠가 중요한가?
고령층은 SNS 사용이 적음 | 가족이 전달해줘야 콘텐츠 도달 가능 |
자녀와의 신뢰가 행동으로 이어짐 | “아들이 말해줘서 끊었어요” |
가족 간 주제로 대화 유도 가능 | 예방 교육 → 대화 주제 전환 유도 |
가족 공유 유도 카드뉴스 전략
- 제목: “우리 엄마에게 꼭 보여주세요”
- QR 삽입: “스캔하면 영상통화 훈련법 보기”
- 자녀 대상 멘트 삽입: “이런 말이 오면 부모님께 알려주세요”
- 포스터형 카드뉴스 디자인으로 A4 출력 가능하게 구성 → 집 현관, 냉장고 부착 유도
오프라인 연계 제안
- 복지관에서 카드뉴스를 프린트 출력물로 나눔
- QR 포함 포스터 → 스마트폰으로 연결
- 자원봉사자 배포형 카드뉴스 활용 가능
장기 운영 전략 및 수익화 모델
장기 콘텐츠 운영 전략
1단계 | 인식 확산 | 기본 카드뉴스 30개 시리즈 제작 및 반복 배포 |
2단계 | 행동 유도 | 퀴즈형 카드뉴스, OX 문제 콘텐츠 도입 |
3단계 | 커뮤니티 참여 | “내가 당한 사기 사례 제보” 콘텐츠 연동 |
4단계 | 브랜딩 강화 | 전자책, PDF 묶음, 인쇄 키트 상품화 |
카드뉴스 수익화 전략
B2B 납품 | 복지관, 경찰청, 금융사 등에 시리즈 콘텐츠 납품 |
후원 유치 | 카드뉴스 하단에 후원사 로고 삽입 (CSR 활동) |
e북 판매 | 카드뉴스 시리즈 100개 모음 PDF 판매 |
블로그 구독 | 매주 1회 카드뉴스 발행 → 이메일 구독 모델 |
유튜브 연동 | 카드뉴스 주제 기반 쇼츠 영상 제작 → 광고 수익화 연계 |
예시 카드뉴스 시리즈 제목 5개 (즉시 활용 가능)
1. “검찰을 사칭한 전화, 이렇게 끊으세요”
2. “딸이 다쳤다는 메시지? 영상통화로 확인하세요”
3. “이 문자 눌렀다면 지금 바로 해야 할 3가지”
4. “이 번호, 진짜일까요? 실시간 사기 조회법”
5. “어르신을 위한 보이스피싱 막는 설정 3가지”
마무리: 카드뉴스는 ‘디지털 경고장’입니다
보이스피싱은 점점 정교해지고,
우리 부모님 세대는 그에 대응할 수 있는 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있습니다.
한 장의 카드뉴스가
- 가족을 지키는 대화의 시작이 되고
- 행동을 바꾸는 도구가 되며
- 노년층의 기억에 남는 ‘시각 훈련’이 됩니다.
“한 장의 카드뉴스가 전 재산을 지켜냅니다.
지금 당장 만들어야 할 콘텐츠는 뉴스가 아니라 경고장입니다.”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예방 브랜드 캠페인 제안서 목차 및 구성 전략 (0) | 2025.07.16 |
---|---|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보이스피싱 예방 콘텐츠 전문 사이트 및 포털 설계 전략 (0) | 2025.07.15 |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보이스피싱 예방 교육키트 패키지 기획안 (0) | 2025.07.15 |
노년층 디지털 금융사기 예방 자원봉사자 양성 프로그램 기획안 (0) | 2025.07.14 |
노년층 디지털 금융 사기: 보이스피싱 예방 콘텐츠 통합 브랜드 구축 전략 (0) | 2025.07.14 |